[경제신문스크랩 9] "중국산이 다 잡아 먹나"... 중국산 AI통역 이어폰 미국서 인기
헤드라인
"중국산이 다 잡아 먹나"... 중국산 AI통역 이어폰 미국서 인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58929
“중국산이 다 잡아 먹나”…중국산 AI통역 이어폰 미국서 인기
애플이 올해 하반기에 자사 이어폰에 실시간 통역 기능을 탑재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중국 스타트업들이 개발한 ‘인공지능(AI) 통역 이어폰’이 미국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중국 관영매체
n.news.naver.com
본문
트렌드가 될 단어 : 파란색
숫자 : 빨간색
애플이 올해 하반기에 자사 이어폰에 실시간 통역 기능을 탑재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중국 스타트업들이 개발한 ‘인공지능(AI) 통역 이어폰’이 미국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중국 관영매체가 소개했다.
업체들은 단돈 9.9달러(약 1만5000원) 등 저렴한 가격대 제품으로 미국 이민자 시장을 공략하는 동시에 고급화 전략에도 시동을 걸며 전 세계로 판로를 넓혀가고 있다.
14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며 중국 남부 도시인 선전의 스타트업인 타임케틀이 출시한 통역 이어폰의 해외 주문이 최근의 AI 붐을 타고 급증했다.
관련 제품은 현재 전 세계 170여개국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이 중 북미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한다고 업체는 밝혔다.
또 5년 이상 거래해온 한국의 바이어도 올해 5000개를 주문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타임케틀의 창업자인 톈리는 CCTV와 인터뷰에서 “방향과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소리를 식별하는 독자 알고리즘을 개발했다”면서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잡음을 걸러내고 필요한 내용만 더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게 됐다”고 홍보했다.
가격이 약 20만원 수준인 타임케틀 제품이 주로 비즈니스 미팅용으로 고려되고 있다면, 다른 업체들의 몇만원짜리 ‘가성비 제품’은 미국의 다양한 이민자들을 주요 타깃으로 삼고 있다.
저가 생필품을 주로 판매하는 중국 소매점 ‘미니소’의 미국 지점을 통해 출시된 9.9달러짜리 초저가 동시통역 이어폰은 미국 소셜미디어 틱톡에서 다양한 후기와 함께 화제를 일으켰다.
미국 미니소 출시 한 달 만에 해당 이어폰은 200만달러(약 30억원)어치 이상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니소보다는 약간 비싸지만 앤커의 24.99달러짜리 P20i 이어폰도 저렴한 가격으로 아마존에서 인기리에 판매 중이다.
이처럼 다양한 중국산 제품들이 미국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중국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일부 매체들은 이를 애플의 에어팟 통역 기능과 연관 지어 “애플이 중국의 9.9달러짜리 이어폰을 따라 하는 것인가”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자체 개발한 무선 이어폰 에어팟의 실시간 통역 기능을 올해 하반기 예정된 에어팟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일부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에 에어팟에 탑재되는 통역 기능은 마치 영화 ‘스타트렉’에서 인간이 다양한 외계 종족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한편, CCTV는 스타트업인 타임케틀이 성공하기 전까지 겪었던 실패 사례들을 상세히 전하면서 젊은 개발자들의 도전정신을 부각하기도 했다.
2019년 휴대용 번역기를 먼저 개발했던 이 업체는 20만대를 야심 차게 생산했다가 부정확한 음성 인식과 느린 번역 속도로 인해 실제 판매로 이어지지 않아 제품 대부분을 폐기해야 했으나 포기하지 않고 기술 혁신을 거듭했다.
기사 내용의 요약
단순히 기사를 읽는 것이 아닌,
희망직무와 관련된 사업의 방향성 /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생각하며 읽어보세요!
추가적으로 추가조사 포인트를 위한 키워드를 잡으시면 더 좋아요!
① 애플이 올해 하반기에 자사 이어폰에 실시간 통역 기능을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② 애플은 자체 개발한 무선 이어폰 에어팟의 실시간 통역 기능을 올해 하반기 예정된 에어팟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일부로 제공할 예정이다.
③ 중국 스타트업들이 개발한 인공지능(AI) 통역 이어폰이 9.9달러 등 저렴한 가격대로 미국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④ 스타트업인 타임케틀이 출시한 통역 이어폰은 전 세계 170여개국으로 수출되고 있고, 이 중 북미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한다.
⑤ 5년 이상 거래해온 한국의 바이어도 올해 5000개를 주문할 계획이다.
⑥ 타임케틀은 방향과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소리를 식별하는 독자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⑦ 가격이 약 20만원 수준인 타임케틀은 주로 비즈니스 미팅용으로 고려되고, 9.9달러 초저가 동시통역 이어폰은 미국의 다양한 이민자들을 주요 타깃으로 삼는다.
⑧ 미국 미니소에 출시한 9.9달러 이어폰은 200만달러(약 30억원)어치 이상 판매됐다.
⑨ 2019년 타임케틀은 20만대를 야심차게 생산했다가 부정확한 음성 인식과 느린 번역 속도로 인해 실제 판매로 이어지지 않아 제품 대부분을 폐기해야 했으나 포기하지 않고 기술 혁신을 거듭했다.
내 생각
스크랩한 기사를 요약한 후 자신만의 의견을 정리해보세요
이미 판매된지 한참된 번역 이어폰을 오늘이 되어서야 알게 됐다.
또 한 번 경제신문스크랩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취업을 해도 경제 신문 읽는 것을 멈추지 않고, 지금부터 습관화 들여야겠다고 다짐한다.
타임케틀의 통역 이어폰이 궁금해져서 영상을 찾아봤는데 뭔가 웃기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젊은 외국인과 연세가 있는 어머니께서 대화하는 모습은 어색하면서도 색다르다. 영상 링크 남길테니 한 번 시청해도 좋을듯. 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BFbgdAc3Sfc
이 영상을 보면서 든 생각은 언젠간 통역가는 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근데 통역가 뿐만 아니라 많은 직업들이 없어지고 생겨나겠지) 국제 컨퍼런스에서 영어권 나라가 아닌 국가가 발표한다고 가정해보자.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인도, 유럽권 국가 등등의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있어도 국제 공용어인 영어로 통역할 것이다.
그런데 모두 통역 이어폰을 낀 상태로 자국어로 들을 수 있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 그치만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 번역된 말은 기계음처럼 딱딱하다. 통역가는 단순 통역만 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맞는 억양으로 통역을 해줄텐데 이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 많은 기술이 필요할 것 같다.
중국의 기술이 어마무시하게 성장하고 있다고 느끼는 요즘이다.
중국에 대한 선입견이 있기 때문에 사실 너무 저렴하면 더 반감이 든다.. 뇌파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은 …. 중국 미안
그치만 기술은 정말 인정한다. 딥시크도 그렇고, 어떻게 최소한의 비용과 저렴한 판매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을까 ..?
찾아보니 갤럭시 버즈도 통역 기능을 제공한다고 한다.
난 갤럭시 유저가 아니지만 기회가 된다면 체험해보고싶다. 그 전에 에어팟 업데이트가 먼저 될 것 같긴 하다.
싸피에서 실시간 번역 랜덤 채팅 서비스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했던 적이 있어서 너무 반가운 기사인데 우리도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면서 어려운 점과 한계점이 많았다.
대표적으로는 시간, 얼마나 빠르게 번역, 통역을 하고 전달하는지, 그리고 개개인의 발성, 억양, 사투리를 어떻게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다.
이 문제점을 통역 이어폰을 만드는 기업들이 어떻게 대처해 나가고 있는지 궁금하다.
많은 시행착오 끝에 성공적인(?) 통역 이어폰을 만든 타임케틀의 마인드와 행동을 본 받고 싶고 앞으로 얼마나 더 혁신적인 기능으로 업그레이드할 지 지켜봐야겠다.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현직자에게 기사로는 알 수 없는 궁금점 질문 뽑아내기
1. 사투리나 지역 특유의 억양도 올바르게 번역이 되나요? 만약 된다면 이는 어떻게 알고리즘을 구현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