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산업·외교·국방부, 딥시크 접속 차단…카카오·LG유플도 "업무 활용 금지"
"데이터 수집 과도" 기밀유출 우려
행안부·17개 지자체는 사용 제한
본문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등 주요 정부 부처가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에 대해 5일 일제히 ‘차단령’을 내렸다. 민감한 정부 데이터가 중국에 서버를 둔 딥시크에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LG유플러스도 이날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사내에 공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딥시크에 질의한 개인정보 수집·처리 등에 대한 불투명한 부분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며 “딥시크는 산업부 업무망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차단했다”고 말했다. 외교·안보·통상 분야의 민감한 기밀 정보를 취급하는 정부 부처도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다고 최근 내부에 공지했다.
딥시크는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일본 등 세계 각국은 딥시크 사용 규제에 나섰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최근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보냈으나 딥시크로부터 아직 회신을 받지 못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기업들 잇따라 정보보안 공지
미국 빅테크 인공지능(AI) 모델(메타 라마)의 10분의 1 수준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선보이며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딥시크에 대해 각국의 봉쇄령이 잇따르고 있다. 딥시크 서버가 중국에 있는 데다 사용자가 딥시크를 사용하면서 입력하는 정보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깜깜이’라는 것이 차단의 주요 이유다. 중국은 네트워크안전법, 데이터보안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제정해 국가 안보와 공공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기업 서버와 데이터를 조사할 권한을 갖고 있다.
딥시크는 기존 중국 AI업체들과 달리 소스코드를 공개(오픈소스)하고 있다. 오픈AI가 폐쇄형을 고집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미국 빅테크 중에선 메타가 자사 AI 모델 라마를 오픈소스화했다. 오픈소스의 최대 목적은 확장성이다. AI업계 관계자는 “틱톡이 중국에 우호적인 여론과 인식을 갖도록 알고리즘을 만든다는 것은 꽤 알려진 사실”이라며 “중국 정부의 우산 아래 있는 딥시크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정보 왜곡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이 애플스토어 등에서 딥시크를 내려받는 것을 원천 차단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오픈AI와의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카카오의 딥시크 이용 금지령은 국내 대형 정보기술(IT) 기업 중 첫 번째 사례다. 이 같은 차단이 얼마나 효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주요 클라우드 업체는 딥시크를 자사 플랫폼에 탑재한다고 잇달아 발표했다. 클라우드 서버에 정보가 보관되는 만큼 유출 우려가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① 2월 5일 주요 정부 부처는 딥시크에 대해 차단령을 내렸다.
② 이유는 딥시크에 입력하는 정보들이 어떻게 처리되는 것인지 알 수 없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③ 뿐만 아니라 딥시크는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고 지적 받는다.
④ 또, 틱톡이 중국에 우호적인 여론과 인식을 갖도록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처럼 딥시크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지적 받는다.
⑤ 카카오의 딥시크 이용 금지령은 국내 대형 IT 기업 중 첫번째 사례이다.
⑥ 이와 대조적으로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주요 클라우드 업체는 클라우드 서버에 정보가 보관되기에 유출 우려가 없어 딥시크를 자사 플랫폼에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1.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딥시크를 사용하는 이유
- 비용
- 딥시크: 사용한 컴퓨팅 용량 기준
- 메타 라마 : 얼마나 많은 텍스트를 생성하는지를 기준
2.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딥시크 배포 방식 4가지
- 아마존 베드록 마켓플레이스
- 모델 카탈로그에서 딥시크-R1을 검색해 손쉽게 배포
-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점프스타트
- 머신러닝 허브에서 클릭 한 번으로 배포와 활용 가능
- 아마존 베드록 커스텀 모델 임포트
- 딥시크-R1-디스틸 모델을 맞춤형 모델로 가져와 활용 가능
- AWS EC2 Trn1 인스턴스(AWS EC2 Tran1 Instance)
- 딥시크-R1-디스틸 모델을 AWS 트레이니움과 AWS 인퍼런시아 기반 인프라에서 최적의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하며 실행 가능
오늘의 경제신문 스크랩/추가조사 및 내용 요약
일단 메타의 라마보다 1/10 수준의 비용으로 딥시크를 개발한 것에 대해서는 너무 멋지고 본 받고 싶다.
그치만 아무리 저렴하더라도 내 개인정보가 어떻게 관리되고 있지 모르는 상태라면 딥시크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같다.
조금 더 비싸더라도 안전하게 chatGPT나 라마를 사용하겠다.
알리바바, 틱톡 등 중국에서 운영하는 회사들에 대한 개인정보 탈취 문제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대단한 무언가를 만들어냈다고 했을 때, 대단하긴 하지만 그와 동시에 불신도 함께 든다.
AWS가 딥시크-R1을 자사 서비스에 적용한다는 기사를 접했을 때, 우리 정부와는 180도 다른 자세이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아예 없는지, 그리고 어느정도 우려는 있는데도 진행하는 것인지 궁금하다.
앞으로 딥시크에 대해 관심있게 지켜봐야겠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왜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 요청 질의서에 대해서 회신하지 않나요?
연관기사 링크
딥시크 R1은 클라우드 업체에 수익성 좋은 비즈니스…왜?
AWS, ‘딥시크-R1’ 제공···가성비 AI 활용 확장
⭐해당 경제신문스크랩 템플릿의 출처는 면접왕이형 입니다.⭐
'경제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일차/경제신문스크랩] [날개펴는 현대오토에버] '엔비디아 효과' 본격화하나... 주식 시장이 먼저 '화답' (4) | 2025.01.23 |
---|---|
[2일차/경제신문스크랩] 삼성·AWS·구글 출신들 몰린다··· 전방위 외부인재 수혈 나선 현대오토에버 (1) | 2025.01.22 |
[1일차/경제신문스크랩] 쿠팡·네이버 쏠림 ... 굳어지는 e커머스 양강 체제 (1)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