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삼성·AWS·구글 출신들 몰린다··· 전방위 외부인재 수혈 나선 현대오토에버
삼성SDS 출신 김지현 DX센터장 영입…양승도 클라우드기술사업부장도 외부 출신
작년 류석문·김선우·최원혁·박상수·장연세 상무 등 리더급 전문가 대거 영입
김윤구 대표 취임 일성 "핵심인재 영입하겠다"…SW 전문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
본문
(빨간색 글씨 : 숫자 , 파란색 글씨 : 키워드)
현대자동차그룹 정보기술(IT)서비스 자회사인 현대오토에버가 최근 외부 인재 수혈에 전방위적으로 나서고 있다. 핵심 리더급 외부 임원 영입을 통해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전통적인 보수적 조직문화 이미지를 벗고 조직 내부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풀이된다.
이는 지난해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한 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그룹 전반의 사업을 이해하고 개방적 인재 등용 전략에 정통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DX·클라우드·보안 등 핵심 분야 역량 강화
현대오토에버는 최근 디지털경험(DX)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DX센터를 신설하고 초대 센터장으로 삼성SDS 출신 김지현 상무를 영입했다. 김 상무는 IT,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26년간 경험을 쌓아온 글로벌 DX 전문가다. 삼성SDS와 시스코에서 고객 경험(CX) 및 사용자 경험(UX) 전략 수립과 글로벌 DX 체계 정립을 이끌며 기술적 전문성과 실행력을 입증 받았다.
김 상무는 DX센터에서 CX, UX, 파트너 경험(PX), 임직원 경험(EX)를 아우르는 디지털 전략을 총괄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에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구글클라우드 등 글로벌 클라우드 분야에서 27년간 경력을 쌓은 양승도 상무를 클라우드기술사업부장으로 영입했다. 양 상무는 클라우드 기술 전략과 운영을 총괄하며, 맞춤형 솔루션과 글로벌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현대오토에버의 클라우드 사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예정이다.
삼성전자·쏘카 등 업계 인재 대거 흡수…김윤구 대표 경영 비전 실현 본격화
현대오토에버는 지난해에도 ▲SW플랫폼사업부장 류석문 상무 ▲전사적자원관리(ERP)센터장 김선우 상무 ▲보안총괄임원(CISO) 최원혁 상무 ▲혁신전략컨버전스사업부장 박상수 상무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센터장 장연세 상무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급 전문가들을 대거 영입하며 조직 역량을 강화했다.
류석문 상무는 쏘카와 라이엇게임즈에서 축적한 기술 리더십을 기반으로 모빌리티와 플랫폼 혁신을 이끌고 있다. 김선우 상무는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에서 ERP 운영을 총괄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ERP 수행 체계를 구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박상수 상무는 인공지능(AI) 및 기업(B2B) ICT 전략을 통해 혁신적인 사업 확장을 이끌고 있으며, 장연세 상무는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모든 것(SDx)'이라는 그룹의 중장기 전략을 중심으로 SDx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보안 분야에서도 대규모 조직 개편과 함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보안총괄임원(CISO)으로 영입된 최원혁 상무를 중심으로 사이버 시큐리티 사업부를 신설, 200여명의 전문 인력을 기반으로 모빌리티 보안 영역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연이은 외부 인재 영입은 김윤구 대표의 리더십과 장기적 전략 비전이 실현된 결과다.
김 대표는 지난해 취임 당시 조직 체질을 혁신하고, SW 기술 및 품질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슬로건과 함께 "핵심 인재 확보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김 대표는 '최고 수준의 기술을 기반으로 대체 불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을 현대오토에버의 새로운 경영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조직 체질을 강화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ICT 환경 속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핵심인재 영입을 통해 차별화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고객 중심(Customer Centric)의 SW 전문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겠다"고 밝혔다.
<용어 정리>
①DX(Digital Transformation) : 디지털 전환을 의미하며, 인공지능, 클라우드,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의 조직 문화, 비즈니스 모델 및 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고객과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으로 변환하는 과정
②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 관리를 의미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기업의 모든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함.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단순히 기사를 읽는 것이 아닌,
희망직무와 관련된 사업의 방향성 /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생각하며 읽어보세요!
추가적으로 추가조사 포인트를 위한 키워드를 잡으시면 더 좋아요!
① 현대오토에버는 외부 인재를 영입하여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화하려고 한다.
② DX, 클라우드, 보안 등 핵심 분야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③ 디지털 경험(DX)을 강화하기 위해 DX센터를 신설했다.
④ 클라우드는 맞춤형 솔루션과 글로벌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클라우드 사업 경쟁력을 키우고자 한다.
⑤ 인공지능 및 기업(B2B) ICT 전략을 통해 혁신적인 사업 확장을 이끈다.
⑥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모든 것이라는 SDx센터를 운영한다.
⑦ 보안을 위해 사이버 시큐리티 사업부를 신설한다.
⑧ 현대오토에버의 새로운 경영 목표는 ‘최고 수준의 기술을 기반으로 대체 불가능한 제품과 서비를 창출하는 것’이다.
⑨ 현대오토에버는 차별화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고객 중심의 SW 전문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고자 한다.
오늘의 경제 신문 스크랩 / 추가 조사 요약
스크랩한 기사를 요약한 후 자신만의 의견을 정리해보세요
고객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 내가 추구하는 개발 방향과 일치한다.
여러 핵심 리더급 외부 인재들을 영입하며 글로벌 입지를 다지는 현대오토에버에서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은 마음이 더 커졌다.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현직자에게 기사로는 알 수 없는 궁금점 질문 뽑아내기
1. 회사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원문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113_0003030004
삼성·AWS·구글 출신들 몰린다…전방위 외부인재 수혈 나선 현대오토에버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 정보기술(IT)서비스 자회사인 현대오토에버가 최근 외부 인재 수혈에 전방위적으로 나서고 있다. 핵심 리더급 외부 임원 영입을 통해 글로벌 사업 역
www.newsis.com
⭐해당 경제신문스크랩 템플릿의 출처는 면접왕이형 입니다.⭐
'경제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일차/경제신문스크랩] 산업·외교·국방부, 딥시크 접속 차단... 카카오·LG유플도 "업무 활용 금지" (1) | 2025.02.06 |
---|---|
[3일차/경제신문스크랩] [날개펴는 현대오토에버] '엔비디아 효과' 본격화하나... 주식 시장이 먼저 '화답' (4) | 2025.01.23 |
[1일차/경제신문스크랩] 쿠팡·네이버 쏠림 ... 굳어지는 e커머스 양강 체제 (1)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