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segye.com/newsView/20250212512184?OutUrl=naver
휴대폰으로 약 먹을 시간 확인한다…복약관리 앱 개발
최동주·윤민재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심방세동 환자의 경구 항응고제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했다.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불규칙한 맥박이 발생하
www.segye.com
헤드라인
휴대폰으로 약 먹을 시간 확인한다…복약관리 앱 개발
분당서울대병원, 복약관리 앱 개발 및 효과 입증
본문
트렌드가 될 단어 : 파란색
숫자 : 빨간색
최동주·윤민재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심방세동 환자의 경구 항응고제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폰 앱을 개발했다.
심방세동은 심방에서 불규칙한 맥박이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두근거림과 흉부의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어지러움과 호흡곤란을 동반한다. 특히 혈전 형성으로 인한 뇌졸중 위험이 높아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이를 예방하기 위해 경구 항응고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과거에는 와파린이라는 경구 항응고제가 주로 사용됐으나 2010년대 이후에는 비타민K 비의존성 경구 항응고제가 새로운 치료제로 자리 잡았다. 이 새로운 약제는 와파린보다 안전성이 우수하지만, 반감기가 짧아 복용을 한두 번만 놓쳐도 뇌졸중 예방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 여러 국내 연구에서 심방세동 환자들의 경구 항응고제 복약 순응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돼 이를 높이기 위한 대책이 중요한 상황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폰 앱은 환자가 설정한 복약 시간에 맞춰 알림을 제공하고, 정기적인 혈압·맥박 측정을 안내한다. 특히 블루투스 혈압계와 연동되어 측정값이 자동으로 기록되고 건강 상태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관리 참여도와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항응고제(에독사반) 복용 환자 498명을 대상으로 앱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앱을 사용한 환자들은 95% 이상의 높은 복약 순응도를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앱을 사용한 환자군(248명)의 73.9%가 6개월 동안 높은 복약 순응도를 유지했으며, 앱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250명)의 경우 해당 비율이 61.0%에 그쳤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환자의 경우 앱을 사용한 그룹의 81.2%가 높은 복약 순응도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58.9%에 그쳐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졌다. 고령층은 약물 복용을 쉽게 잊어버릴 가능성이 높지만 앱의 알림 기능과 혈압 및 심박수 측정 유도가 이를 보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는 외래진료나 전화상담만으로는 복약 순응도 개선에 한계가 있었던 임상현장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추가 비용이나 설비 없이 환자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간편한 스마트폰 앱으로 효과를 거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연구를 주도한 최동주 교수는 “간편한 스마트폰 앱만으로도 심방세동 환자의 복약 순응도와 자가 관리가 크게 개선됨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심방세동 뿐 아니라 다양한 심장질환 환자들을 위해 앱을 고도화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내 9개 대학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고대안암병원 △충북대병원 △계명대동산병원 △보라매병원 △동탄성심병원 △강남성심병원 △분당차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연구로 진행됐으며 경희대 컴퓨터공학부 이승룡 교수가 앱 개발에 협력했다. 연구 결과는 의료정보학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신 호에 게재됐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① 심방세동 환자의 경구항응고제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폰 앱이 개발됐다.
② 개발한 원인으로 ‘비타민K 비의존성 경구 항응고제’는 안전성이 우수하지만, 반감기가 짧아 복용을 한두 번만 놓쳐도 뇌졸증 예방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심방세동 환자들의 경구 항응고제 복약 순응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 되어 대책 앱을 개발했다.
③ 앱은 환자가 설정한 복약 시간에 맞춰 알림을 제공하고, 정기적인 혈압, 맥박 측정을 안내한다.
④ 또한, 블루투스 혈압계와 연동되어 측정값이 자동으로 기록되고 건강 상태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관리 참여도와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⑤ 앱을 사용 환자군 248명, 앱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250명 총 복용 환자 498명을 대상으로 앱의 효과를 검증했다.
⑥ 앱을 사용한 환자들은 95% 이상의 높은 복약 순응도를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⑦ 앱을 사용한 환자군의 73.9%가 6개월 동안 높은 복약 순응도를 유지했고, 앱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61.0%에 그쳤다.
⑧ 65세 이상 고령환자의 경우 앱을 사용한 그룹의 81.2%가 높은 복약 순응도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58.9%에 그쳤다.
⑨ 외래진료나 전화상담만으로는 복약 순응도 개선에 한계가 있었던 임상현장의 문제를 해결했고, 추가 비용이나 설비 없이 환자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간편한 스마트폰 앱으로 효과를 거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오늘의 경제신문 스크랩/추가 조사 내용 요약
앱의 순기능이 돋보이는 기사였다. 나는 복용하는 약이 따로 없고, 감기 걸리면 병원가서 처방전 받아오는 정도인데 이 마저도 밥 먹고 까먹는 경우가 많다.
매일 먹는 약이라면 익숙해질 수도 있겠지만 언제나 예외 상황은 존재할테니 알림을 제공하는 앱이 있다는 건 너무 좋은 것 같다. 사실 알림 기능은 핸드폰의 기본 기능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해당 앱의 약 복용 알림, 혈압, 맥박 측정 등 알림이 따로 구분된다면 차별화가 있다고 생각한다. 앱이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는 잘 모르지만! 또, 블루투스 혈압계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측정되기에 병원을 방문하지 않아도 병원에서 수시로 체크하고 문제가 있으면 환자 내원 요청을 하면 되니 유의미한 앱이라고 생각한다. 엄청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는 않더라도 누군가에게 필요한 앱들이 많이 생겨나면 좋겠다. 그리고 나도 소수라도 꼭 필요하다면 그런 사람들에게 필요한 앱을 만들어주고 싶다.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알람이 울리는 시간은 몇 초인가요? 만약 어르신께서 주무시거나 다른 일을 하시느라 알람을 못 들으셨다면 알람은 꺼질 때까지 울리는가요 혹은 일정 시간 동안 울리다가 멈추고,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알람이 울리는건가요?
- 핸드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으신 어르신 분들을 위한 음성 서비스도 제공되나요? (예를 들면, 약 복용 알림, 병원 방문 예정 알림 등 여러가지 알림이 있을텐데 이에 따라 알림 소리가 다르다던가요? 약 복용 알림 : 띠링띠링 ~~ 000님 약 먹을 시간 입니다 띠링띠링 ~~ , 병원 방문 예정 : 띠리링띠리링 ~~ 000님 xx월 xx일 x요일 xx병원 방문 일정이 있습니다. 띠리링띠리링 ~~~)
'경제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 5]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 M&A 3파전 (2) | 2025.02.13 |
---|---|
[경제신문스크랩 4] 산업·외교·국방부, 딥시크 접속 차단... 카카오·LG유플도 "업무 활용 금지" (1) | 2025.02.06 |
[경제신문스크랩 3] [날개펴는 현대오토에버] '엔비디아 효과' 본격화하나... 주식 시장이 먼저 '화답' (4) | 2025.01.23 |
[경제신문스크랩 2] 삼성·AWS·구글 출신들 몰린다··· 전방위 외부인재 수혈 나선 현대오토에버 (1) | 2025.01.22 |
[경제신문스크랩 1] 쿠팡·네이버 쏠림 ... 굳어지는 e커머스 양강 체제 (2) | 2025.01.21 |